"내가 오드리?"… 이방카, '헵번 드레스' 오마주에 "몰상식" 역풍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트럼프가 아버지의 두 번째 대통령 취임 무도회에서 오드리 헵번을 오마주한 드레스를 선보였지만, "헵번에 대한 모욕"이라는 혹평과 함께 '이방카의 위선'을 지적하는 비판이 쏟아졌다.
특히 헵번이 생전에 보여준 사회적 책임 의식과 대비되는 이방카의 행보가 비판의 도화선이 됐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이방카는 열린 취임 무도회에 영화 '사브리나'(1954)에서 오드리 헵번이 입었던 지방시 드레스를 재현한 의상을 입고 등장했다. 몸에 딱 붙는 상의와 풍성한 스커트, 검은색 꽃 자수가 돋보이는 드레스는 지방시가 이방카를 위해 특별 제작한 것이다.
문제는 단순히 '같은 옷 다른 느낌' 을 넘어, 이방카가 헵번이라는 아이콘이 가진 상징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미국 패션 매체 글래머는 "헵번의 드레스는 영화 속에서 노동자 계층의 딸이 상류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히 진입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며 "'금수저'로 태어나 부와 명예를 누려온 이방카가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고 옷을 선택했겠느냐"고 지적했다.
특히 헵번이 생전에 보여준 사회적 책임 의식과 대비되는 이방카의 행보가 비판의 도화선이 됐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저항했던 헵번은 은퇴 후 유니세프 친선대사로서 인권 운동과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하지만 이방카는 아버지의 정책으로 인해 고통받는 이민자와 소수자들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헵번은 이방카 아버지의 정치 노선에 반대했던 인물", "헵번은 이방카와는 완전히 다른 삶을 살았기에 지금까지 존경받는 것" 등 비판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헵번의 장남 숀 헵번 페러 역시 "어머니는 이방카와 정치적으로 맞지 않는다"며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헵번 드레스' 논란은 단순한 패션 논란을 넘어, 이방카를 향한 오랜 시간 누적된 비판 여론이 표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방카는 과거에도 아버지의 정책을 옹호하면서도 호화로운 삶을 누리는 모습으로 '위선'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논란은 이방카가 대중의 비판적인 시선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부동산 대란" 서울 신축 아파트가 "3억?"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